투자분석/종목분석

두산밥캣 PRS 계약 및 블록딜 내용정리

  • -

두산밥캣, 주가수익스와프(PRS) 계약

두산밥캣 최대주주 두산에너빌리티는(과거 두산중공업) 지난 2018년 8월 국내 4개 증권사에 주식 약 1,057만주를 3,681억원에 매각했으며, 이때 주가수익스와프(PRS)계약까지 체결해두었습니다. 그리고 2022년 11월 30일 한국투자증권, 신영증권, 키움증권, NH투자증권이 유동성 확보를 위해 보유하고 있던 두산밥캣 주식 500만주를(약 2,000억원 규모) 할인가 적용해 대량 매각(블록딜 → 시간외 대량매매)했는데요. 

 

주가수익스와프(이하 PRS)는 주식을 다시 재매각하여 넘겨받을 때 주가가 설정한 기준가보다 낮거나 높으면 서로 차익을 물어주는 파생상품 계약입니다. 만약 기준가를 넘어 주가가 상승하면 투자자가 두산에너빌리티에 상승분을 보전해주고, 기준가보다 낮으면 반대로 두산에너빌리티가 투자자(국내 4개 증권사)에게 손실금액을 보전해줍니다. 

 

이 계약을 통해 투자자는(이하 증권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만 기준가 이하로 주가가 내려가더라도 두산에너빌리티가 손실금액을 보전해주기 때문에 손실이 제한되고요. 그렇다고 주가가 올라가면 투자자가 오히려 두산에너빌리티에 상승 차액을 보전해줘야 하니 어쨌든 양쪽 다 주가가 기준가 주변에서 맴돌길 희망하게 됩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증권사와 주당 3만 4,800원에 PRS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지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두산밥캣 주가흐름
지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두산밥캣 주가흐름

 

두산밥캣 호실적에 매수세 유입

두산밥캣 주가는 지난 2018년부터 28,000~39,000원 Band를 유지해왔습니다. 물론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주가가 급락하기도, 2022년 초 두산에너빌리티(구 두산중공업) 채권단 관리체제 조기졸업 및 경영정상화 기대감속 주가가 급등하기도 했으나 평균 28,000~40,000원대 범위를 유지했습니다. 

 

그런데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금리인상, 가상화폐 쇼크 등 다양한 악재 속 주식시장이 침체를 겪는 가운데 두산밥캣은 오히려 실적이 급증해 매수세가 몰리기 시작합니다. 실제 두산밥캣 22년 3분기 영업이익은 3,169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44.4% 증가, 누적 영업이익은 8,208억 원으로 전년대비 86.1% 늘어났습니다. 

 

증권사 입장에선 손실, 블록딜 결정

PRS(주가수익스와프)계약으로 두산밥캣 주가 급등 시 손실규모가 커지는 증권사 입장에선 블록딜에 나설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된 겁니다. 또한 이번 블록딜을 통해 증권사들이 지분을 크게 줄였지만 아직 5% 가까이 남아있어 남은 지분에 대한 추가 매도가 언제 이뤄질지도 후속 관심사입니다. 

 

한편, 2022년 11월 30일 두산밥캣 블록딜 소식에 주가는 전일대비 -14.03% 하락하며 35,550원에 거래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가 +1.61% 상승한 점 감안하면 체감상 낙폭이 컸습니다.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